배초향
김종태
뿌리 내리고 산다면
사는 곳이 어딘들 어떠랴
백팔 계단 달동네
함석지붕 단칸방이면 별장
바람과 사람에 휩쓸려
생이가래로 떠돌던 때도 살았는데
사람이 산다는 것은
한 그루 나무가 되어
비바람에도 아니 흔들리는
억척스러운 뿌리를 내리는 것
나무에게 정작으로 소중한 것은
어디서 무얼 먹고 사느냐가 아니고
어떤 사이 속에서
어떤 향기를 품으며
어떤 쓸모로 사는가이다
배초향 Agastache rugosa O. KUNTZE
볕이 잘 쪼이는 곳에 자라는 꿀풀과 다년초로 높이 40-100 cm.
줄기는 네모지고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꽃은 7-9월에 핀다. 풀 전체에 향기가 진하다.
방아라고도 하고 잎을 향신료로 음식에 넣기도 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방애 또는 방아풀과 배초향이 다르다고 한다
향유는 꽃생김이 달라 구별이 쉬운데 방아풀과 배초향은 그별이 어렵다.
배초향이라고 내 자료에도 있기는 한데 꽃 생김이 다른 꽃 두 개를 맨 마지막에 넣는다
배초향은 꽃술이 밖으로 길게 나오는데 맨 아래 두 개는 꽃술이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구별이 어렵다
누군가 아시는 분이 구별을 해 주십시오
배초향
일명 `방아잎` 또는 `깨나물`이라고도 하며, 전체에서 강한 향기를 풍기는 방향성 식물이다. 강건한 식물이므로 특별한 관리는 필요없고 정원주변의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심어 관상 하거나 절화용 소재로 이용 가능 하다. 전초에서 강한 향기가 나므로 잘 말려서 차로 이용할 수 있고, 생잎을 이용하며 생선 비린내를 제거하거나 육류 요리시에 냄새를 없애는데 사용할 수 있다. 5~8월경 채취한 어린싹과 잎은 날 것으로, 또는 데쳐서 식용하면 좋다. 식물 전체를 생약으로도 이용하며,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짙고 깊은 색을 표현하는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자생식물서 동맥경화 억제 신물질 개발!
[YTN TV 2005-12-22 03:42]
전통 한약재로 쓰이는 우리 나라 자생식물에서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는 신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이 신물질은 동맥경화 치료용 천연물 신약과 기능성 신소재 등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전에서 이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배초향'입니다.
동북 아시아에 분포하는 배초향은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남부지방에서 야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 초본입니다.
여름철에 더위를 먹거나 소화가 잘 안될 때 민간요법으로 달여 먹고, 추어탕 등 음식물의 비린내를 없애는 향미재로 쓰였던 배초향이 동맥경화 억제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형규 박사팀은 배초향의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틸리아닌'이 콜레스테롤 축적을 억제해 동맥경화를 크게 개선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인터뷰:오세량, 생명硏 면역제어연구실]
"배초향이 동맥경화에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연구팀은 동맥경화를 유발시킨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배초향' 추출물과 '틸리아닌'를 투여한 뒤 8주가 지나자 쥐의 동맥경화 증세가 거의 사라졌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성과는 한방에서 사용해 오던 전통 약제에 첨단 생명공학 기술이 접목되면 새로운 천연의약이 개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천연 신물질은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고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에 기술이 이전돼 조만간 제품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이형규, 생명硏 면역제어연구실]
"전통 한방약재에 써 온 자생식물은 신약 개발에 다양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배초향'에서 추출한 신물질은 염증성 질환과 동맥경화, 순환기 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신약, 기능성 의약품과 건강 보조식품 개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배초향은 생약명이 곽향(藿香)으로 감기(感氣), 종기(腫氣), 곽란( 亂), 비위(脾胃), 구역(吐逆), 구토(嘔吐) 등에 쓰이는 꿀풀과의 다년생 약용식물이다.남부지방에서는 주로 생선찌개, 보신탕 등의 독특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이용하기도 한다.최근 배초향의 항산화효과가 인정되고 항산화작용의 주된 물질이 로즈마린산으로 밝혀지면서 배초향을 천연항산화제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항산화제는 산화로 인한 식품의 품질변화와 기름의 산패를 지연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합성항산화제는 가격이 싸고 효과가 탁월하여 식품가공 및 의약품에 널리 쓰이고 있으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문제가 되어 보다 안전한 천연항산화 물질을 찾아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항산화제의 질병예방 효과가 알려지면서 천연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그리고 배초향은 정유함량도 높아 향료로의 개발이 기대되는 허브식물의 일종이기도 한데, 천연향료의 원료인 정유는 꽃, 잎, 열매, 목질부 및 수피 등 거의 모든 부위에 존재하며 식물종이나 부위에 따라 독특한 향기와 향미를 나타낸다.정유는 차광정도와 유기물의 종류 등 재배환경에 따라 함량 및 조성의 차이를 보이는데, 식물천연향료의 생산은 건물 수량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유수율을 높이는 것도 또한 중요하며 정유수율 및 성분은 재배환경이나 수확시기 등에 따라 변동된다
국내 향료 시장규모는 약 1,000억원 수준인데, 국내 향료산업은 기술낙후, 투자부족, 고가의 원료수입 등으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으며 국내 향료회사는 외국 향료회사와 대리점 형태로 원료를 무제한 수입 또는 판매하고 있어 기술개발이 등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그러나 국내에서만 자생하는 식물이라는지 국산의 우수성 혹은 특이성이 있는 식물을 향료로 개발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