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녹나무과 낙엽관목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3∼6m이고, 나무 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이며 매끄럽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길이가 5∼15cm이고
윗부분이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3개의 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노란 색의 작은 꽃들이 여러 개 뭉쳐 꽃대 없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화피 조각 6개와 9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 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그리고 헛수술 9개가 있다.
작은꽃자루은 짧고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지름이 7∼8mm이고 9월에 검은 색으로 익는다.
새로 잘라 낸 가지에서 생강 냄새가 나므로 생강나무라고 한다.
연한 잎은 먹을 수 있다. 꽃은 관상용이고, 열매에서는 기름을 짠다.
한방에서는 나무 껍질을 삼첩풍(三 風)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타박상의 어혈과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세에 효과가 있다.
잎이나 꽃을 비비면 생강 냄새가 나는 생강나무.
강원도에서는 산동백 혹은 동박나무 등으로 부른다.
김유정의 단편 <동백꽃>에서 점순이가 나를 떠밀어 쓰러지며 폭 파묻혔던
"한창 피어 퍼드러진 노랑 동백꽃", 그 “알싸하고 향긋한 냄새”에
"땅이 꺼지는 듯 온 정신이 고만 아찔"하게 했던 '동백꽃'이나
"떨어진 동박은 낙엽에나 쌓이지 사시장철 임 그리워서 나는 못 살겠네"라는
<정선아리랑>의 '동박'도 바로 이 생강나무를 말한다.
어린 새순은 차, 연한 잎은 상추처럼 고기를 싸서 먹는 쌈의 재료로 식용하기도 하며,
열매에서는 기름을 얻는다.
* 꽃자루가 거의 없이 가지에 꽃이 바로 다닥다닥 붙어 뭉쳐진 모습이다.
* 줄기의 피부가 매끄럽다.
* 꽃잎이 다섯장이다. 가지 끝에는 색동저고리처럼 곱게 달린 잎눈이 반드시 있다.
* 야생에서 자라 민가 주변이나 들에는 보이지 않고 산골짜기나 산기슭에서 보인다.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산형화목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
산지나 인가 부근에서 자란다. 높이 4∼7m이다.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벗겨지며 연한 갈색이다. 잎이 나기도 전에 가지마다 작은 꽃이 20~30개씩 달리는데, 꽃잎은 4개이고 긴 타원 모양 바소꼴이다. 늦여름이면 빨간 열매가 달린다. 잎은 층층나무와 닮았다. 약용으로 심었으나 요즘에는 조경수로 기르는 경우가 많다.
* 꽃잎이 피기 직전 보석처럼 화피에 싸인 모습. 알갱이 하나하나가 꽃이다.
* 꽃자루가 살처럼 방사형으로 퍼져 있는 모습이 보인다.
화피 속에 여러 개의 꽃이 들어 있는데, 수술처럼 펼쳐진 꽃자루 위에 4개의 꽃잎으로 된 꽃이 달린다.
* 꽃자루가 길어 꽃이 성겨 보이고, 꽃잎이 넉장이다.
* 나무 줄기의 피부가 거칠다.
* 생강나무와 산수유나무의 다른 점
산에서 보는 노란색 꽃 나무가 대부분 생강나무인데 비해,
민가 주변이나 밭 근처에서 피는 노란색 꽃나무는 대부분 산수유나무라고 보면 옳다.
(생강나무는 산에서 자생하고, 산수유나무는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생강나무와 꽃에는 생강과 비슷한 알싸한 향기가 나는 데 비해,
산수유나무와 꽃에는 그런 향기가 없다.
꽃잎도 생강나무가 5장인데
산수유나무는 4장이다.
보통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피는 산수유나무와 달리
생강나무는 암꽃이 피는 암나무와 수꽃이 피는 수나무가 따로 있다.
생강나무 잎이 털이 약간 난 공룡 발바닥 모양이라면,
산수유나무 잎은 긴 세로줄 맥이 뚜렷하고 윤기가 나는 긴 타원형이다.
생강나무 줄기가 약간 푸른 빛이 돌고 매끈한 데 비해,
산수유나무는 줄기는 갈색 빛이 돌고 껍질이 벗겨져 지저분해 보인다.
생강나무 열매가 동글동글하고 검게 익는 데 비해,
산수유는 타원형으로 빨갛게 익는다.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이고
산수유나무는 층층나무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