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흰민들레

noseein 2008. 5. 5. 06:33

 

 

 

 

 

 

 

 

 

 

 

 



    흰민들레

                     

                                 김종태

 


   당신을 사랑한다고 수없이 속삭여도

   당신은 결코 믿지 않겠지요

   저를 믿지 않는 한 당신은

   저의 진실을 믿지 않을 테니까요

 

   보이지 않는 더 많은 것들이

   보이는 것 뒤에 숨겨져 있는 것을

   차마 하지 못한 말 뒤에는

   더 간절한 부르짖음이 있다는 것을

   남의 말만 듣는 귀나

   보이는 것만 보는 눈이

   어찌 알 수 있을까요

 

   귀막고 눈을 다시 떠 보세요

   새로움은 언제나 곁에 있어요

   당신만 준비가 되신다면 언제라도

   어디서나 나를 찾을 수 있어요

 

   노란 민들레가 지천인 이 세상에도

   어딘가 한두 포기 무심한 채로

   흰민들레는 피고 지고 또

   작은 씨앗을 날린답니다

 


  식물이름: 흰민들레

  다른이름: 안질방이 앉은뱅이꽃 무슨둘레 미움둘레 문들레

  과  이름 : 국화과

  학    명: Taraxacum  ohwianum  KITAMURA

  생약이름: 조선포공영(朝鮮蒲公英)

  생약성분: taraxasterol, choline, sterol, inulin,

  사촌식물: 서양민들레, 좀민들레, 산민들레, 민들레

  생 육 상: 여러해살이

  자라는 곳: 양지바른 곳

  잎 모 양: 원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나며 무잎처럼 깊게 갈라졌고 땅에 깔린다.

  키:       10cm 정도이나  꽃이 지고나면 꽃대가 더 자란다  20-30cm .

  꽃 모 양:  꽃받침은 윗부분이 뒤로 젖혀지지만 서양민들레처럼 심하진 않다

  꽃    색: 흰색

  꽃피는 때: 4-5월. 여름 내내 피기도 한다. 잎사귀 숫자만큼 꽃이 핀다는

             말이 있다. 한꺼번에 피지 않고 시간을 두고 피기 때문에

             오래동안 꽃을 볼 수 있다

  씨    앗 : 수과

  남다른 점: 하얀민들레라는 진미령의 유행가가 있는데  꽃중에서 꽃색이 하얀

             것은 하얀이란 이름을 안 붙이고 모두 흰 이란 이름을 붙인다

  쓰 임 새: 식용, 약용. 밀원용. 우리는 민들레를 안 먹는데 참 좋은 나물이다.

            어린 잎은 나물,뿌리는 튀김, 전체를 김치, 찌개 등으로 먹음.

            약성은 쓰고 식중독을 제거하고 결핵 궤양 옹종 늑막염 위염

            건위제 등으로 쓴다.

  늘리는 법: 씨앗, 흔히 민들레홀씨라고 하는데 크게 잘못된 말이다.

             홀씨는 포자를 말한다. 민들레 뿌리를 2cm 정도 잘라 심으면

             잘 자란다.

  꽃    말:  내 사랑 그대에게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꿩의밥  (0) 2008.05.07
선개불알풀  (0) 2008.05.06
각시붓꽃  (0) 2008.05.03
줄딸기  (0) 2008.04.30
황매화  (0) 2008.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