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중
까마중
김종태
대문 밖에는 나가지도 않는다고
동네 칭찬이 자자했어
스물까지 숫보기로 키워온 꿈을
까마중 꽃이 하얗게 뒤뜰을 덮던 날
누이는 능말 부자집으로 꽃가마 탔지
천생연분 어쩌구가 말짱 헛것이여
중 중 까마중 새파란 알처렁
새끼 졸졸이 남겨 놓고
복도 많아라 순진한 누이
울면서 또 가마 탔지
배고프거든 마음이나 편해야지
두억시니 몽니를 이십년 견디다
버커리 되놓니 이젠 혼자 몸
중 중 까마중을 올망졸밍 매 단 채
올해도 담장에는 까마중이 지천이지
입이 새까맣도록 까마중 따 먹었어
까마중 잎으로 열손가락 싸매 주며,
천만년 같이 살자던 띠앗머리는
엎어지면 코닿을 곳인데
내가 어떻하지?
올해도 뒷뜰에는 까마중이 멍들어 가고
울 밑 봉숭아는 손짓을 해도
나는 모르네 까마중이 무엇인지
정말 모르네 봉숭아의 저 손짓
까마중 2
김종태
땟국물 자르르르 올망졸망 또래들
너댓명씩 몰려다니며 동네를 뒤집고 놀다가
깡보리밥 다 꺼지면 허기가 져서
까마중 맛있다고 따먹으며 속 채웠네
주렁주렁 많이도 달리던 까마중
한참을 따먹으면 속이 든든한데
입술은 온통 보랏빛으로 범벅이 되고
가끔씩은 배가 싸리싸리 아프다
한세월 훌쩍 그렇게 또 지나가고
천지가 몇번 개벽을 한 뒤
긴 장마 끝에 반짝이는 까마중 열매
오매 반가운 것 한웅큼 따서 입에 넣었겠다
뭔 맛이 이래!
퉤퉤퉤 아리고 떫고 시큰둥
세월이 바뀌다 보니 까마중도 변했구먼
가만 있자 근데 뭐가 바뀐거지?
까마중은 가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써 강태, 깜두라지, 까마종이라
부르고 한방에서는 용규라한다. 학명은 Solanum nigrum L. 이다.
사람 사는 곳 근처에 잘 자란다. 밭, 길가 담장 등에 잘 자란다.
높이는 20-80cm이고 옆으로 많이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6-10 cm
너비 4-6cm 로 넓은 편이다. 꽃은 5-7월에 예닐곱 송이씩 핀다. 열매는
8월이면 익는데 팥알만하고 까맣다. 그래서 까마중이라 부르는 것 같다.
어린 잎은 삶아서 우려내어 나물로 먹고 솔라닌이란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전초를 한방에서는 해열 이뇨 피로회복제로 쓴다.
열매는 까맣게 익으면 먹는데 많이 먹으면 입이 까매지고 약간 아리다.
감자, 고추, 꽈리, 구기자, 토마토, 담배 등은 모두 같은 가지과이다.
재미있다. 꽃을 보면 비슷한 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