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seein
2005. 8. 19. 14:47
|

능소화
김종태
내가 눈이 멀게 되면 요란한 너의 눈빛 때문이 아니다 자세히 보아서는 아니될 그 금기 그저 얼핏 보고 말 것을
내가 다리가 부러지면 높디 높은 너의 허황한 꿈 때문이 아니다 그저 네 꿈은 거기 그렇게 있겠거니 알고도 모른 척 지나칠 것을
지독히도 외로워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해 미친 듯이 담벼락이라도 기어올라야 하는 몇만년 전의 그 기억 씁쓸한 본능이라고 탓하지 말자
이 늙은 몸이라도 타고 오르렴 눈 멀고 귀 먹고 말마저 못하는 외다리 이 늙은이라도 마다 않는다면 온통 내 몸을 휘어감고 네 마지막 이승을 꿈꾸어보렴
능소화
김종태
어쩌랴 도리없이 나도 어쩔 수 없단다 너 없으면 살 수가 없는데 나도 어쩔 수 없단다
이럴 줄 몰랐다 하자 너에게 붙어 빨판을 네 온몸에 착 붙이고 온통 너를 휘감아야만 하는 나를
한 달도 서른 날 하루도 열두 때를 너 하나만을 줄창 졸라대는 나를 이제는 너 싫다 하여도 나 도리없단다 그냥 너와 나 우리의 인연이라 하자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 중국원산의 낙엽덩굴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옛날에서는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기수 1회 우상복엽이고 작은 잎은 7-9개 꽃은 8월에 지름 6-8센티미터로 핀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기어오른다고 능소화(凌霄花)라고도 한다 꽃가루를 현미경으로 보면 미세하게 갈고리가 있다고 하여 꽃가루를 만지고 눈을 비비면 눈에 안 좋다고 한다
| |